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러브레터(Love letter)] 1999년 국내 개봉 때의 영화일기

by 22세기소녀 2013. 2. 13.
728x90
반응형

1999.11.20
정식 개봉한 이와이 슈운지의 <러브레터>를 보다.
(이 일기는 12월 1일에 쓰여졌다)

새벽에 여자후배로부터 문자가 들어왔다.
"선배, <러브레또>에서, 사랑은 뭐라 말한 것 같아?"

 

글쎄, 뭐였을까! 거듭 보면서 나도 이 점을 궁금해하던 차였다. 평소 (쓸데없는 것)고민하기 좋아하는 나는 머리를 이불에 처박고 또 삐질삐질 생각에 돌입하기 시작했다.


냉정히 말하면 한 여자(히로꼬)는 속은 거고, 다른 여자(이츠키)는 새삼 기뻐질 일이 생긴게 <러브레터>에서의 사랑 아니었나? 그렇다면 만장일치에 가까운 관객들의 감동어린 찬사는? 글쎄, 그건 좋은 느낌을 오염시키고 싶지 않아 모두들 쉬쉬한 게 아닐까? 
 

그러나 조금 더 생각해보면, 이건 한 회의주의자의 편견에 지나지 않은 것임을 깨닫게 된다. 마지막 장면은 분명 이츠키가 답장을 띄우지 않는 걸로 돼있다. 이건 감독이 각자 좋은 추억으로서 사랑을 간직했으면 하는 의도가 깔려있는 것이다. 이츠키(여)에게 애인이 없다는 사실은 추억을 보다 소중하게 간직하게끔 만든다. 
 

<러브레터>는 <TV는 사랑을 싣고>와 비슷한 거 같다. 잃어버렸던, 혹은 잊어버렸던 추억을 되살려주니까. 여기에 <러브레터>의 미덕이 있다. 히로꼬에겐 사랑했던 사람의 추억영역이 과거로 더 확대되는 선물이 되었고 이츠키에겐 두 말할 나위 없는 첫사랑의 추억선물이 된 셈이다. 두 여자 모두는 기억 속에 이 추억을 공유하고 저장함으로써 행복하게 잘 살 거다.


다음날 후배를 만나 얘기를 나누었다. <러브레터>의 첫 장면에서 느꼈던 감정이 마지막 장면에서 느끼게된 감정과 같아서 참 좋았어요. 히로꼬가 설원에서 잘 지내나요? 전 잘 지내요 하는 장면은 어찌할 수 없었던, 또는 해결되지 않았던 감정을 작정하고 해소시키는 의미있는 장면이었구요. 또 죽기 전에 세이코의 노래를 부른 이츠키의 심정 이해할 수 있을 것 같아요. 이츠키는 히로꼬를 진정 사랑한 거예요. 그가 닮은꼴의 여자를 연인으로 만드는 용기를 낸 건, 남자들이 제 엄마와 닮은 여자를 만나려고 하는 것과 같은 이치일 거예요,. 이츠키는 잘해보려고 했지만 자신의 운명을 깨닫고 남풍 운운하는 노래를 불렀던 거죠. 히로꼬가 오타루보다 아래에 있는, 남쪽 도시 고베에 사는 것도 우연의 일치는 아니겠죠?

 

머리가 아닌 가슴으로 영화를 느낀 후배의 모든 말이 옳았다.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