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마더> 한국영화가 좋은 이유

by 22세기소녀 2009. 6. 23.
728x90
반응형

2009.5.30
김혜자(1941년 10월 25일)보다 딱 4개월 먼저 태어나신 엄마와 함께 일산CGV에서 <마더>를 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마더>는 애너모픽 렌즈를 사용하였기에 2.35:1 와이드 화면비로 상영된다.(<살인의 추억>과 <괴물>도 그렇고 대부분의 영화가 1.85:1) 그만큼 더 담겨있고 볼 것도 더 많다. 시원하고 깊은 맛을 주며 클래식한 느낌도 살아 있다. 다행히 시네마스코프를 제대로 구현하는 일산CGV의 가장 큰 극장에서 <마더>를 볼 수 있었다. 평소 넓게 담기는 엑시무스 카메라로 촬영하거나 사진의 위아래 자르기를 좋아하는 나에게 와이드로 선사하는 영화는 오프닝부터 압도적이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천재감독들은 시작부터 뭔가 다르다. 박찬욱도 <박쥐>를 공들였지만 <마더>의 오프닝은 회화적이고 또 시적이다. 묘하게도 타르코프스키의 <거울>과 테렌스 맬릭의 <씬 레드 라인>의 들판과 바람이 느껴지면서 울컥거렸다. 이 기분은 커다란 스크린에서만 가능할 것 같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영화는 평범하지만 꾹꾹 눌러 담았다. <밀양>이 그렇듯이 이것은 연출력이 없는 감독은 절대 할 수 없는 일이다. 한 문장 한 문장 읽을 때마다 아까운 글처럼 <마더>는 한 장면 한 장면이 맛있다. 특히 클림트의 황금 빛 유혹보다, 이와이 순지의 핸드헬드보다 더 아름다운 일몰 역광씬은 영화사의 결정적 장면으로 오래 회자될만큼 마음을 흔든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김혜자는 오랜 연기 인생이지만 어째 영화를 많이 찍지는 않았다. 몇 편 되지 않은 출연작도 그다지 깊은 인상을 남기진 않았다. <만추>로 마닐라국제영화제에서 최우수여우상을 받았지만 캐릭터에의 깊은 몰입을 이끌어내지는 못했다. <마요네즈> 또한 드라마와의 구별점은 보이지 않는 영화였다. 그러나 <마더>에서 김혜자는 존재감이 절대적이며 그녀 연기 인생에서 기념비가 될만한 작품을 만들었다. 원빈은 어떤가. 잘 생겼는데 연기까지 잘 하니까 덩달아 신이 난다. 캐릭터를 잘 만들어준 봉준호에 감사해야 할 일이지만 원빈의 사슴 같은 눈이 없었다면 또 그렇게 매력적이진 않았을 것이다.  [★★★★☆]

사용자 삽입 이미지

※덧붙이기
김혜자 아니면 누가 가능할까를 생각해보니 윤여정이 있다. 목소리가 거슬리기는 하지만 연기력 하나만큼은 끝내주는 분이니까. 마침 검색하다가 80년대 윤여정이 출연했던 박철수 감독의 영화 <어미>에서 흥미로운 사실을 발견했다. 영화는 사창가에 납치된 딸의 복수를 하기 위해 살인 복수극을 벌이는 스릴러영화라고.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728x90
반응형